일용햘양식 3

역대하 11장: 영성이 부족한 르호보암의 한계

르호보암 통치 초기 01~04 예언자를 통해 유다와 베냐민 군대가 철수하다 05~12 르호보암에 의해 유다와 베냐민에 방어 성읍들이 건축되다 13~17 북이스라엘의 레위인들이 쫓겨나 남유다에 정착하여 유다가 강성해지다 18~23 르호보암의 처첩과 후계자 하나님의 말씀은 성취된다. 이스라엘의 분열은 하나님이 정하신 바였다. 만약 여로보암이 하나님의 길로 갔다면 예언자를 통해 정하신 말씀처럼 축복받을 수 있었을텐데 그렇지 못했다. 전쟁은 무의미한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를 막으신다. 레위인들의 귀환 레위인들의 힘은 강력했다. 말씀 설교와 찬양과 재판과 중보 사역을 통해 유다가 점점 강성해졌다. (23) 르호보암의 지혜 르호보암이 아들들을 여러 성읍으로 흩었다. 이것은 아들들 사이의 분열을 막고 자신이 정한..

역대하 10장: 이스라엘의 분열 원인(르호보암이 무너진 이유)

르호보암 때 이스라엘이 분열하다 01 르호보암이 세겜에서 왕이 되다 02~05 르호보암에 대한 여로보암과 이스라엘의 요청 06~11 르호보암이 노인들과 친구들 각각에게 조언을 구하다 12~19 친구들의 조언을 들은 르호보암의 응답과 이스라엘의 반역 직분에는 존중과 지지가 필요하다 왕은 명분만으로 세워지지 않는다. 왕이 왕노릇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다. 일단 일차적으로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로서 왕이 될 명분은 있었다. 그 이후 그의 통치에 따라 진짜 왕이 될지 말지가 결정되는데, 이후 내용을 보다시피 이스라엘의 존중을 받지 못하고 이스라엘은 둘로 쪼개진다. 이것을 왕이 아니라 어떤 권위와 직분으로 일반화해서 볼 수도 있다. 단순히 임명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맡겨..

역대상 25장: 신령한 노래를 하는 사람들

다윗이 찬양하는 자들을 구별하여 세우다 01~06 찬양으로 성전에서 섬기는 아삽, 여두둔, 헤만과 그의 아들들 신령한 노래라고 하지만, 원어적으로는 ‘예언하다’이다. 어떤 미래의 일을 말한다기 보다는 하나님의 뜻을 대변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아삽: 예언 / 아들 4명 여두둔: 수금을 사용하며 예언, 감사, 찬양 / 아들 10명 헤만: 심벌즈, 비파, 수금으로 연주 / 아들 14명 07~31 아삽, 여두둔, 헤만의 아들들과 그 아들들이 12명씩 24반차로 나뉘어 성전에서 섬기다 훈련되어 찬양할 줄 아는 자들이었다. 일단 찬양을 할 줄 안다면 나이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제비뽑아 세웠다. 질서와 자유의 하나님 제사장 직분이나 성전을 섬기는 그밖에 레위인의 직분과 마찬가지로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그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