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일용할 양식 54

역대하 18장: 여호사밧의 치명적인 실수

여호사밧의 실수와 덮어주시는 하나님의 은혜 01 여호사밧과 아합이 인척관계가 되다 02~27 길르앗 라못의 전쟁에 대한 예언 28~34 전쟁에서 여호사밧은 살고 아합은 죽다 여호사밧의 어리석음 여호사밧은 나름대로 하나님의 길로 갔으나 하나님을 온전히 경외하지 못하고 악한 짓을 저지르던 이스라엘의 왕 아합과 사돈이 된다.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함께 매지 말라 하셨는데, 여호사밧은 아마 나라를 더욱더 견고하게 세우려는 인간적인 생각으로 그런 결정을 내린 것 같다. (적용) 선한 취지이더라도 그것이 하나님의 뜻에 맞는지는 언제나 여쭈어보아야 한다. 심은 대로 거두는 법칙 그래도 여호사밧은 그간 하나님의 길로 나아온 일이 있었기에 하나님의 감동으로 전쟁에서 살아나고, 아합은 변장까지 하였으나 화살에 맞아 죽는..

역대하 17장: 다윗의 처음 길을 걷는 여호사밧

여호사밧 01~06 여호사밧이 우상을 제거하고 다윗의 길을 걷다 07~09 지도자들, 레위인들, 제사장들을 유다 각지로 파송하여 백성을 가르치다 10~11 주변 나라가 여호사밧에게 조공을 바치다 12~19 여호사밧의 강한 군대들 국방을 튼튼하게 하며 우상을 제거하는 여호사밧 신앙은 지켜내는 것이다. 시작된 신앙은 마지막 날까지 끝내 지키고 키워가야만 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운명이다. 계속해서 나의 개인적인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 앞에 단독자로 서야 한다. 순종하는 자에게 하나님은 현세에서도, 내세에서도 복을 주신다. 주변으로부터의 위험을 막아주시고, 영혼육을 강건케 하신다. 말씀 교육자를 파송하는 여호사밧 지혜의 근간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고, 하나님을 경외하기 위하여 배워 알아야 하는 것은 ..

역대하 11장: 영성이 부족한 르호보암의 한계

르호보암 통치 초기 01~04 예언자를 통해 유다와 베냐민 군대가 철수하다 05~12 르호보암에 의해 유다와 베냐민에 방어 성읍들이 건축되다 13~17 북이스라엘의 레위인들이 쫓겨나 남유다에 정착하여 유다가 강성해지다 18~23 르호보암의 처첩과 후계자 하나님의 말씀은 성취된다. 이스라엘의 분열은 하나님이 정하신 바였다. 만약 여로보암이 하나님의 길로 갔다면 예언자를 통해 정하신 말씀처럼 축복받을 수 있었을텐데 그렇지 못했다. 전쟁은 무의미한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를 막으신다. 레위인들의 귀환 레위인들의 힘은 강력했다. 말씀 설교와 찬양과 재판과 중보 사역을 통해 유다가 점점 강성해졌다. (23) 르호보암의 지혜 르호보암이 아들들을 여러 성읍으로 흩었다. 이것은 아들들 사이의 분열을 막고 자신이 정한..

역대하 10장: 이스라엘의 분열 원인(르호보암이 무너진 이유)

르호보암 때 이스라엘이 분열하다 01 르호보암이 세겜에서 왕이 되다 02~05 르호보암에 대한 여로보암과 이스라엘의 요청 06~11 르호보암이 노인들과 친구들 각각에게 조언을 구하다 12~19 친구들의 조언을 들은 르호보암의 응답과 이스라엘의 반역 직분에는 존중과 지지가 필요하다 왕은 명분만으로 세워지지 않는다. 왕이 왕노릇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다. 일단 일차적으로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로서 왕이 될 명분은 있었다. 그 이후 그의 통치에 따라 진짜 왕이 될지 말지가 결정되는데, 이후 내용을 보다시피 이스라엘의 존중을 받지 못하고 이스라엘은 둘로 쪼개진다. 이것을 왕이 아니라 어떤 권위와 직분으로 일반화해서 볼 수도 있다. 단순히 임명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맡겨..

역대하 6장: 성전의 가장 중요한 역할: 은혜와 자비로 다스리는 곳

솔로몬의 성전 완공 대표기도 01~11 성전 건축의 출발점 리마인드: 다윗의 갈망, 언약을 이루시는 하나님 12~42 솔로몬의 기도 13~20 하나님의 언약의 성취를 위한 간구 21~23 개인적 회개 중보 24~31 국가적 회개 중보 32~33 이방인을 위한 간구 34~35 전쟁을 위한 간구 36~39 디아스포라를 위한 간구 40~42 하나님의 임재 요청, 제사장과 성도와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위한 간구 기도보다 앞서는 것은 하나님께서 선하시고 인자하시고 신실하시다는 진리다. 하나님께서 이런 분이 아니라면 성전 건축도 헛되고, 우리의 모든 기도도 헛되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기도하기에 앞서서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기억하며, 하나님께도 당신의 성품과 언약을 일깨워드려야 한다. 가장 먼저된 기도는 회개 기도..

역대하 5장: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에 가득하다

성전 완공 감사예배 01~10 회막의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기다 (2~4) 이스라엘 우두머리, 장로,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모였다. (3) 히브리력 일곱째 달에는 나팔절, 대속죄일, 장막절이 있다. 아마 이 명절은 장막절인 것 같다. 기존의 장막을 대신하는 성전이 세워진 날이기 때문이다. (6) 이루 헤아릴 수 없는 감사 제물을 올려드렸다. 11~14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이 여호와께 감사하며 찬양할 때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에 충만하다 (11) 첫 예배이기 때문에 모든 제사장들이 모였다. 이들은 몸을 깨끗하게 하여 성전을 섬길 준비를 했다. 성전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이집트에서의 이방인으로서 긴 노예생활과 이후 엑소더스와 광야에의 방랑생활을 마치고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가나안 땅에 그 백성이..

역대하 4장: 성전에 사용될 성물들

성전 기구들 두로왕 히람이 보내준 기술자 히람이 솔로몬에 명령에 따라 성전 기구들을 만든다 01~18 성소 외부에서 쓰일 성전의 기구들 (청동) 청동 제단, 청동바다와 열 개의 대야, 열 개의 금등대, 열 개의 상, 100개의 대접, 제사장의 뜰, 큰 뜰, 뜰의 문, 솥, 부삽, 고기용 갈고리 19~22 성소 내부에서 쓰일 성전의 기구들 (순금) 금제단, 진설병을 두는 상, 등대, 등잔, 꽃, 부젓가락, 부집게, 숟가락, 불 옮기는 접시, 문들 청동과 순금의 대비 청동은 사람과 죄를 뜻한다. 순금은 하나님과 영광을 뜻한다. 이 두 가지가 대비된다. 성전 외부에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기구들이 있다. 모든 인간은 죄인으로서 본래 하나님 앞에 온전히 나아갈 수 없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과 부활 승리의 ..

역대하 3장: 솔로몬이 성전 건축을 시작하다

솔로몬의 성전 건축 01~02 성전 건축 개요: 장소와 때 03~07 성전 몸체(기초, 현관, 문지방, 천장, 들보, 벽, 문짝) 순금, 종려나무, 잣나무, 각종 보석을 이용하였다. 08~17 지성소, 휘장, 성전 기둥 순금, 각양각생의 실과 베, 석류 사슬 성전의 위치가 갖는 의미 성전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쳤던 곳이자, 다윗이 회개하고 값을 치루고 산 오르난의 타작마당이다. 아브라함에게 이삭은 ‘가장 사랑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다윗이 값을 치룬 오르난의 타작마당은 ‘죄의 대가’였다. 성전은 우리의 믿음을 주님께 드리는 곳이며, 주님의 신실하심을 목격하는 곳이다. 성전은 예수 그리스도다. 사람이 마땅히 가장 사랑할 참된 대상이시요, 우리의 모든 죄의 대가를 그 죽음으로 대신 치루어주신 희생 제물이시다..

역대상 27장: 다윗의 정치와 조직력

다윗의 호위대와 이스라엘의 행정 관리들 01~15 다윗의 호위대 12반차 상비군 2만 4천명씩 매 달 돌아간다. 16~22 각 지파의 지도자들 23~24 인구조사 리마인드 인구조사는 하나님의 은혜를 무시하고 자신의 힘과 능력을 의지하는 처사로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는다. 25~31 영역별 재산 관리자들 32~34 다윗 왕의 보좌관들 국가를 다스리는 큰 일에는 많은 인재가 필요하다. 하나님의 일은 한 사람이 해낼 수 없다. 큰 일이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생각이 다른 것 같아서, 혹은 말씀에 대한 해석이 다른 것 같아서 혼자 괴로워하던 시간이 꽤나 길었던 것 같다. 이 지점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그래 보인다’거나 ‘그럴 것 같다’는 것은 순전히 나의 생각이다. (적용) 실제 다..

역대상 26장: 성전을 섬기는 문지기, 재정팀, 관리와 재판관들

[01~19] 문지기 역할을 맡은 고라와 므라리 자손 [20~28] 성전과 제물 창고 관리 역할 [29~32] 행정 및 사법 역활 29 이스라엘 전반 국정 및 재판을 맡은 이스할 자손 그나냐 30 요단 서쪽 치세를 맡은 헤브론 사람 하사뱌 자손 31~32 요난 동쪽 치세를 맡은 헤브론 사람 여리야 자손 하나님의 기준에서의 복 오벳에돔에게 복을 주셨다면서 나오는 내용이, 그 자손 62명이 능력있는 자들이었고 성전을 섬기는 문지기로 쓰임을 받았다는 내용이다. 우리가 이 땅에서 누릴 수 있는 참복은 나를 돌아 보고,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쓰임받는 것이다. 오메가교회에서는 찬양을 하기 전과 설교 말씀을 듣기 전에 “당신은 회복되어 쓰임받을 것입니다.”라는 축복의 예언을 하는 문화가 있다. 때로는 교회가 지나..